-
안녕하세요 꿀팁전도사 입니다.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1월 15일 부터 오픈됩니다. 한해 동안 사용하였던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등 자신이 사용한 금액에 대한 소득 공제를 통해 돈을 돌려받을지 세금을 더 낼지 정해집니다.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 할 것 같은데요~ 저도 이맘때쯤 되면 얼마나 돌려받을지 궁금하긴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1 연말정산 간소화 일정 및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국세청> 202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일정
2021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2021년 1월 15일부터 오픈됩니다.
1월 15일부터 17일까지는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1월 18일 부터는 편리한 연말정산 및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줍니다. 그리고 1월 20일에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의 최종 확정자료를 제공해줍니다.
근로자는 1월 15일 금요일 6시~ 24시 까지 연말정산 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들이 몰리는 1월 15일 부터 1월 25일 까지는 과부하 방지를 위해 30분간 이용 가능하고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접속이 종료 됩니다. 외료비 자료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 1월 15일 부터 17일까지 신고가 가능하고 1월 20일에 연말정산 최종 확정자료가 제공 됩니다.
<출처 :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이용방법
연말정산 간소화는 위 화면 처럼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위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로 접속하시면 연말정산 간소화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근무 해당 월을 체크해주시고 아래 보이는 각종 공제 항목에 대해 돋보기 모양을 눌러줍니다.
돋보기 모양을 눌러주시면 공제 항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돋보기 모양 밑에 나오는 기본 내역들을 확인 해줍니다. 월 옆에 보시면 PDF로 한번에 내려받기와 출력하기 버튼이 있는데 편하신 방법으로 파일을 받아줍니다.
마지막으로 프린트 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2월 1일 부터 2월 28일 사이에 회사에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2021 연말정산 달라진 점은?
2021년 연말정산 달라진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에 간소화 자료를 제공 안해줬던 안경구입비 비용이 간소화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실손 의료보험비 항목을 확인 하실 수 있고 공공임대주택 월세 납입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긴급재난지원금 관련 기부금도 간소화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암, 치매, 난치성 질환 등 중증환자 장애인 증명서, 월세 세액공제, 병원에 주민등록번호를 알려주지 않은 신생아 의료비, 자녀나 형제 자매의 해외 교육비, 보청기, 휠체어 등 장애인보장구 구매임차비용, 중고등학생 교복 구매 비용, 종교단체 기부금, 취학 전 아동 학원비, 사회복지단체, 시민단체 등 지정 기부금은 직접 자료를 받아서 제출하셔야 합니다.
마무리
이상 2021 연말정산 간소화 일정 및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한해동안 계획을 잘 세워서 공제율에 따라 카드, 현금 등을 사용해야되는데 아쉽게 그렇게 하지 못해서 이번에도 많이 환급받지는 못할 것 같네요 ㅠㅠ
함께 읽으면 좋은글
2020년 9월부터 달라지는 정책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9월부터 달라지는 정책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미 날짜가 지난 정책들도 있어서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9월부터 달라지는 정책들 2020년 9월부터는 7가지 정책이 달라집
jungbosan.tistory.com
교통 범칙금 vs 과태료 vs 벌금의 차이점 알아보기
교통 범칙금 vs 과태료 vs 벌금 차이점 알아보기 오늘은 교통 범칙금과 과태료, 벌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슷비슷한 이름인데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름만 봐도 뭔가 안좋은 느
jungbosan.tistory.com
대표적인 교통범칙금 종류 알아보기
대표적인 교통범칙금 종류 알아보기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대표적인 교통 범칙금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통 범칙금은 벌점과 돈을 한번에 내는 경우가 많아서 벌점이 많이 쌓이는
jungbosan.tistory.com